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여덟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비가 내려 잠시나마 더위를 피하게 해주지만,
역시 여름은 여름입니다. 무더위가 계속해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 요즘같은 더위에 여러분들은 아래의 두 가지 표현 중 어떤 말이 올바른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역시 여름은 여름이다. 무더위가 정말 심해 너무 덥다"
"역시 여름은 여름이다. 무더위가 정말 심해 너무 덮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여덟번째 시간에서는 '덥다'와 '덮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덥다'와 '덮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역시 여름은 여름이다. 무더위가 정말 심해 너무 덥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덥다'와 '덮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덥다"입니다.

 

덥다[발음 : 덥ː따]
형용사

정의 1. 대기의 기온이 높다.

예문 1. 여름 날씨가 무척 덥다(O)
 여름 날씨가 무척 덮다(X)

     2. 오늘따라 비가내렸는데도 유난히도 덥다.(O)
 오늘따라 비가내렸는데도 유난히도 덮다.(X)
 
정의 2. 더운 공기

예문 1. 한참 더울 때 군대를 가서 훈련소에서 고생을 했다.(O)
 한참 더불 때 군대를 가서 훈련소에서 고생을 했다.(X)

     2. 공원을 몇 바퀴 달렸더니 더워 죽겠다.(O)
 공원을 몇 바퀴 달렸더니 더붜 죽겠다.(X)

 

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덥다의 의미는 한여름에 무척 날씨가 더울 때 사용하는 의미입니다.
주변에서 덥다를 덮다라고 착각하는 분은 아마 없을 것 같지만, 덮다는 그럼 무엇일까요?

 

덮다[발음 : 덥따]
동사


정의1. 물건 따위가 드러나거나 보이지 않도록 넓은 천 따위를 얹어서 씌우다.

예문 1. 책상보를 책상에 덮다(O) 
        책상보를 책상에 덥다(X)
 
     2. 몰래 혼자 먹던 야식을 신문지로 덮었지만 다 가려지지 않았다.(O)
 몰래 혼자 먹던 야식을 신문지로 덥었지만 다 가려지지 않았다.(X)
 
정의 2. 그릇 같은 것의 아가리를 뚜껑 따위로 막다.

예문 1. 뚜껑을 국그릇 위에 덮다(O)
 뚜껑을 국그릇 위에 덥다(X)

     2. 먼지가 많으므로 컵 위에 종이를 덮었다.(O)
 먼지가 많으므로 컵 위에 종이를 덥었다.(X)
 

정의 3.「…을」일정한 범위나 공간을 빈틈없이 휩싸다.

예문 1. 행복한 분위기가 방 안을 덮는다.(O)
 행복한 분위기가 방 안을 덥는다.(X)
     2. 산은 온통 소나무들이 즐비하게 덮고 있다.(O)
 산은 온통 소나무들이 즐비하게 덥고 있다.(X)
 

정의 4. 펼쳐져 있는 책 따위를 닫다.

예문 1. 책을 덮었다.(O)
 책을 덥었다.(X)

     2. 보던 것들은 덮고 필기도구만 꺼내세요.(O)
 보던 것들은 덥고 필기도구만 꺼내세요.(X)
 

정의 5. 어떤 사실이나 내용 따위를 따져 드러내지 않고 그대로 두거나 숨기다.

예문 1. 지난 일을 덮어 두다(O)
 지난 일을 덥어 두다(X)
 
     2. 허물을 덮어 주다.(O)
 허물을 덥어 주다.(X)


네, 위에서처럼 덮다는 덥다보다도 더 많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여름철의 더운 날씨에 대해서는 '덥다'라고 표현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콘텐츠를 마칩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일곱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여러분들은 캠핑을 혹시 좋아하나요?
캠핑을 가서 고기를 구워먹거나 할 때는 불을 조심해야하는데요. 불을 피우려 할 때는 여간 조심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아래의 두 문장 중 무엇이 올바른지 알아보겠습니다.

 

"불을 피울 때는 손을 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불을 피울 때는 손을 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일곱번째 시간에서는 '데다'와 '대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데다'와 '대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불을 피울 때는 손을 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매다'와 '메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데다"입니다.

 

 

데다[발음 : 데ː다]
동사

정의 1. 「(…을)」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말미암아 살이 상하다. 또는 그렇게 하다.

예문 1. 손가락을 실수로 불에 데어버렸다 (O)
 손가락을 실수로 불에 대어버렸다 (X)
 
예문 2. 요리를 하다가 발에다 뜨거운 국을 흘려 데었다. (O) 
        요리를 하다가 발에다 뜨거운 국을 흘려 대었다. (X)

예문 3. 물이 뜨거운지 알아보려다 물이 뜨거워 데었다. (O)
 물이 뜨거운지 알아보려다 물이 뜨거워 대었다. (X)


정의 2. 「…에」 몹시 놀라거나 심한 괴로움을 겪어 진저리가 나다.

예문 1. 사람 사이 관계에 데어 지쳤다(O)
 사람 사이 관계에 대어 지쳤다(X)

예문 2. 잦은 회식 등으로 술에 데어 술만 보면 진저리 난다.(O)
 잦은 회식 등으로 술에 대어 술만 보면 진저리 난다.(X)

 

네, 위에서 보다싶이 데다의 의미는 무언가를 직접 경험 또는 마주함으로써 생각과 다른 결과를 얻는 등의 상황에 사용됨을 알 수 있엇습니다.
그러면 대다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대다[발음 : 대:다]
동사
 
정의 1. 「…에」 정해진 시간에 닿거나 맞추다.

예문 1. 약속 시간에 대도록 길을 서둘러 나섰다.(O)
        약속 시간에 데도록 길을 서둘러 나섰다.(X)

예문 2. 그 사람은 약속했던 시간에 대서 왔는데 제일 먼저 도착했다.(O)
        그 사람은 약속했던 시간에 데서 왔는데 제일 먼저 도착했다.(X)

정의 2. 「…에/에게」(주로 ‘대고’ 꼴로 쓰여) 어떤 것을 목표로 삼거나 향하다.  

예문 1. 하늘에 대고 소원을 빌었다.(O)
  하늘에 데고 소원을 빌었다.(X)
 
     2. 아이들이 나무판을 목표지로 대고 돌을 던졌다.(O)
 아이들이 나무판을 목표지로 데고 돌을 던졌다.(X)
 
     3. 어디다 대고 반말을 하는지 모르겠다.(O)
 어디다 데고 반말을 하는지 모르겠다.(X)

 
정의 3. 「…에/에게 …을」무엇을 어디에 닿게 하다.

예문 1. 핸드폰을 귀에 대고 통화를 걸었다.(O)
 핸드폰을 귀에 데고 통화를 걸었다.(X)
 
 

네, 위에서처럼 대다는 직접 접촉을 하는 경우에 사용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것으로 오늘의 헷갈리는 우리말 콘텐츠를 마칩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다섯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옛날 이야기를 읽을 때면, 나그네가 길을 가다가 잠시 머물기 위해서 문을 두드리며 하는 말이 있는데요. 아래의 두 문장 중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인지 생각해보세요.

 

 

"지나가는 나그네인데 잠시 드샐 수 있겠습니까?"

"지나가는 나그네인데 잠시 드셀 수 있겠습니까?"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다섯번째 시간에서는 '드새다'와 '드세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드새다'와 '드세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지나가는 나그네인데 잠시 드샐 수 있겠습니까?"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드새다'와 '드세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드새다"입니다.

 

 

드새다[발음 : 드새다]

동사

 

정의 1. 「…을」 길을 가다가 집이나 쉴 만한 곳에 들어가 밤을 지내다.

 

예문 1. 나그네는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가는 중 여러 집을 찾아들며 상황을 얘기하며 하룻밤씩 드새었다. (O)

        나그네는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가는 중 여러 집을 찾아들며 상황을 얘기하며 하룻밤씩 드세었다. (X)

 

     2. 날씨가 험하니 오늘은 이만큼만 걷고, 근처로 드새고 내일부터 다시 걷도록 하자. (O)

     2. 날씨가 험하니 오늘은 이만큼만 걷고, 근처로 드세고 내일부터 다시 걷도록 하자. (X) 

 

 

네, 드새다의 의미는 위에서 본 것처럼 어딘가에 머물고 잠시 휴식을 쉬할 때 사용하는 단어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 드세다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드세다[발음 : 드세다]

형용사

 

 

정의 1. 힘이나 기세가 몹시 강하고 사납다.

 

예문 1. 드센 성질을 가진 내 친구 (O)

드샌 성질을 가진 내 친구 (X)

 

     2. 성격이 고약하고 드세다 (O)

  성격이 고약하고 드새다 (X)

 

 

정의 2. 어떤 일 따위가 견디기에 힘들 정도로 거칠고 세차다.

 

예문 1. 조직 생활이 드세어서 힘들다 (O)

조직 생활이 드새어서 힘들다 (X)

 

 

 

 

네, 위에서처럼 성격이 착하기 보다 약간 성미가 고약하거나 강할 때 '드세다'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즉 '드새다'는 어딘가에 묵기 위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기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성격이 세다라고 생각해서 드세다로 생각하면 성격과 관련된 것이 '드세다'임을 알 수 있겠습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서른아홉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여러분들은 캠핑을 좋아하시나요? 캠핑을 가면 주된 요리들로 튀김요리가 있습니다.

 

 


그 튀김 중에서도 새우가 있는데요. 새우요리를 보통 어떻게 드시나요. 이런 상황에서 헷갈릴만한 표현을 말해보려 합니다. 캠핑장에서 이런 표현을 쓰곤 하지 않나요?

 

 


"새우는 먹으려면 잘 그슬어서 먹어야한다" 또는 "새우는 먹으려면 잘 그을러서 먹어야한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서른아홉번째 시간에서는 '그슬다'와 '그을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그슬다'와 '그을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새우는 먹으려면 잘 그슬어서 먹어야한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그슬다'와 '그을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그슬다"입니다.

 

 


그슬다 [발음 : 그슬다]
동사
활용 : 그슬어, 그스니, 그스오
 
정의 1. 불에 겉만 약간 타게 하다.

예시 1. 장작불에 털을 그슬다 
     2. 새우를 불에 그슬어서 먹다.

 

 
즉, 새우요리를 해먹을 때는 그슬다의 표현을 써야합니다. 어떻게하면 까먹지 않을까요? 이런 방법은 어떨까요?
새우니까 그슬어 먹어야 한다고 기억해보세요. 새우의 'ㅅ', 그슬다의 'ㅅ'으로 기억을 하면 까먹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을다'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그을다 [발음 : 그을다]
[동사]
활용 : 그을어, 그으니, 그으오
 
정의 1. 「…에」 햇볕이나 불, 연기 따위를 오래 쬐어 검게 되다.

예시 1. 햇볕에 얼굴이 검게 그을었다.
     2. 탈 수 있는 것은 죄다 타 버리고 흙벽이나 돌담만 시꺼멓게 그은 채 무슨 형해(形骸)처럼 남아 있었다. 출처 : 하근찬, 야호
     3. 볕에 그을고, 먼지를 쓴 얼굴에서는 손에 소금기가 묻어나왔다. 출처 : 한수산, 유민 예문보기
     4. 농부의 발등은 단순히 햇빛에 그을어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못 먹고 속만 끓인 탓인지…… 출처 : 최명희, 혼불
     5. 햇볕에 그을어서라기보다 피부색깔이 원래 좀 그래 보이는 거무튀튀한 얼굴에…… 출처 :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6. 잿빛으로 그을고 좌현 옆구리에 붉은 글씨로 배 이름을 써놓은 것이 보인다. 출처 : 유현종, 들불
     7. 집터엔 연기에 그은 구들미가 잡초들 사이로 거뭇거뭇 보였을 뿐이었다. 출처 : 문순태, 피아골
     8. 시커먼 석탄 연기에 굴뚝 속같이 그은 가슴을 이 깨끗한 바람으로 자기와 같이 씻어 냈으면 하였다. 출처 : 심훈, 영원의 미소

 

 

#부가정보 : ‘그을다’에 ‘-은’이 연결되면 ‘ㄹ’이 탈락되어 ‘그은’이 되기 때문에 ‘그을은’은 잘못된 표현이라 합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서른아홉번째에서는 '그슬다'와 '그을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하게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 중의 하나인 '금세'와 '금새'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 단어는 보통 우리가 어떤 사건이 금방 벌어지곤 하는 때를 빗대어 사용하게 되는데 헷갈려선 안되겠지요!

 

 

아래와 같은 예문에서 과연 '금세'와 '금새' 중 어떤 것이 올바른 것인지 생각해보세요.

 

 

"시간이 금세 / 금새 지나버려 벌써 한 해가 끝나간다"

 

 

과연 정답은 무엇일까요?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것은 바로 '금세' 입니다!

 

 

금세

 

1 ) 지금바로

2 ) '금시(今時)에'의 줄임말

  예문 : 추운 겨울 따듯한 곳에 들어오니 볼이 금세 빨갛게 달아올랐다.

 

 

금세는 '지금 바로'를 나타내는 부사로써 보통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구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금새

 

1 ) 물건의 값

2 )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

 

  예문 : 금(을) 보다 -> 금새를 보다 : 어떤 물건의 시세나 값이 얼마 정도라고 정하다

 

 

결국 '금새'는 물건의 값과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의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에서는 다른 사람의 유쾌하지 못하게 해결하는 의미로 보통 사용되는 뒤치다꺼리 혹은 뒤치닥거리라는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과연 뒤치다꺼리뒤치닥거리.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예를 들어 어린 동생이 있는 분들의 경우라면, 동생의 뒤치다꺼리 / 뒤치닥거리로 정신이 없다 라는 문장에서 과연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정답은 동생의 뒤치다꺼리로 정신이 없다가 올바릅니다.

 

 

뒤치다꺼리 [발음 : 뒤ː치다꺼리]

  

 

1. 뒤에서 일을 보살펴서 도와주는 일.

예)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의 뒤치다꺼리에 아침은 늘 바쁘다.(O)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의 뒤치닥거리에 아침은 늘 바쁘다.(X)

 

     자식이 많은 문제로 자식들의 학비 뒤치다꺼리도 힘들다.(O)

     자식이 많은 문제로 자식들의 학비 뒤치닥거리도 힘들다.(X)

 

    언제까지 어린 동생의 뒤치다꺼리를 해야 할까?(O)

   언제까지 어린 동생의 뒤치닥거리를 해야 할까?(X)

 

 

이러한 올바른 표현인 뒤치다꺼리와는 반대로 뒤치닥거리는 어떤 의미일까요?

 

 

뒤치닥거리  

 1.‘뒤치다꺼리’의 잘못된 말.

 2. ‘뒤치다꺼리’의 북한어.

 

네 결국 뒤치다꺼리가 올바른 표현이라 하겠습니다.

 

이렇게 기억해보는 건 어떨까요?

다른 사람의 싫은 일을 돌보는 것을 뒤치다꺼리라고 생각해보세요.

그러면... 뒤치다"꺼리" ... 꺼리는 일을 한다.. 뒤치다꺼리

 

오늘의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뒤치다꺼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콘텐츠로 희한하다와 희안하다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보통 놀랍거나 신기한 일을 두고 참 희한하다~ or 희안하다~ 라고 표현할텐데, 과연 표기에 있어서는 어떤 것이 올바른 표기법일까요?

 

 

 

 

 

 

 

 

정답은 바로 "희한하다"가 올바른 우리 표준어입니다.

 

희한하다 :: --[발음 : 히한하다]

 

 -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

* 희한(稀罕)하다의 한자를 살펴보면, 드물 '희'(稀)에 드물 '한' (罕)을 사용합니다. 즉 이는 "드물고 또 드물다"라는 뜻을 의미합니다.

 

 예문 ) 희한한 일(O)

           희안한 일(X)

   

           처음 알게 된 희한한 물건(O)

           처음 알게 된 희안한 물건(X)

 

           희한한 소문이 나돌다(O)

           희안한 소문이 나돌다(X)

 

 

 

이렇게 외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흔히 어이없거나, 신기하면 놀랍기도 하면서 허탈(?)한 웃음을 짓기도 하는데, ㅎㅎ... 거참 희한하네...

 

즉, "희""한"의 "ㅎㅎ".. 희안이 아니라 희한이라고 외울 수 있겠습니다.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희한하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대학생 여러분들이나 공무원 준비생분들은 아마 요즘 때라면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아서 불안한 마음도 들고.. 그래서 책을 더 봐야한다는 스트레스를 받을 것 같은데요.. 그럴 때 밤도 새우게 되는 날도 있을텐데요-

 

 

 

 

오늘 헷갈리는 우리말에서 소개할 부분은 바로 밤을 지새우다밤을 세우다 중 어느 것이 올바른지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밤을 지새우다 vs 밤을 새우다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정답은 바로 밤을 새우다 입니다.

 

 

새우다와 세우다를 구분하기 힘들 때는 단순히 '세우다'의 기초적인 뜻을 기억해두세요. '세우다'는 여러 뜻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뜻으로 "건물을 짓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네, 결국 밤이라고 하는 시간을 물리적인 건물 등을 위로 올릴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새우다'가 올바른 표현임을 기억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뜬눈으로 밤을 새운다(O)

뜬눈으로 밤을 세운다(X)

 

 

 

 

오늘은 그렇게 어렵지 않는 우리말 표현에 대해서 학습해 보았습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