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예순두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여러분은 어떤 일을 하긴 하려고 하는데, 누군가가 자꾸만 재촉하는 경우는 없었나요?


즉 다른 사람이 자꾸만 이것을 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재차 여러번 말을 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아래와 같은 말을 합니다. 아래의 두 가지 문장 중 어떤 것이 올바른지 생각해보세요.
 

"친구의 등쌀에 못이겨 어쩔 수 없이 서두를 수밖에 없었다."
"친구의 등살에 못이겨 어쩔 수 없이 서두를 수밖에 없었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예순두번째 시간에서는 '등쌀'과 '등살'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등쌀'과 '등살'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친구의 등쌀에 못이겨 어쩔 수 없이 서두를 수밖에 없었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등쌀'과 '등살'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등쌀"입니다.

 


등쌀[발음 : 등쌀]
명사
 
정의 1. 몹시 귀찮게 구는 짓.

예문 1. 욕심 많은 관리의 여러 요구 등 등쌀에 시달리는 백성들(O)
 욕심 많은 관리의 여러 요구 등 등살에 시달리는 백성들(X)


     2. 친구의 등쌀에 못이겨 어쩔 수 없이 서두를 수밖에 없었다(O)
 친구의 등살에 못이겨 어쩔 수 없이 서두를 수밖에 없었다(X)


     3. 하기 싫었지만 등쌀에 떠밀려 내가 나서게 되었다(O)
 하기 싫었지만 등살에 떠밀려 내가 나서게 되었다(X)

 

네, 등쌀의 의미는 위에서 본 것처럼 무엇인가 귀찮은 일 등을 시키는 등의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등살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등살[발음 : 등쌀]
명사
 
정의 1. 등에 있는 근육.

예문 1. 무서워서 등살에 소름이 돋고 말았다(O)
 무서워서 등쌀에 소름이 돋고 말았다(X)

 
     2. 많이 먹다보니 등살도 예전과 달리 찐 것 같다(O)
 많이 먹다보니 등쌀도 예쩐과 달리 찐 것 같다(X)
 

네, 위에서처럼 등살은 말그대로 등에 붙은 근육이라고 된 것처럼, 등의 살이라고 외우면 등쌀과 헷갈리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남이 나에게 무엇인가를 지속적으로 시키게 되면 쌀쌀맞게 되지요? 그래서 '등쌀'이라고 외우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것으로 오늘의 헷갈리는 우리말 예순두번째 콘텐츠를 마칩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여덟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비가 내려 잠시나마 더위를 피하게 해주지만,
역시 여름은 여름입니다. 무더위가 계속해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 요즘같은 더위에 여러분들은 아래의 두 가지 표현 중 어떤 말이 올바른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역시 여름은 여름이다. 무더위가 정말 심해 너무 덥다"
"역시 여름은 여름이다. 무더위가 정말 심해 너무 덮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여덟번째 시간에서는 '덥다'와 '덮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덥다'와 '덮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역시 여름은 여름이다. 무더위가 정말 심해 너무 덥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덥다'와 '덮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덥다"입니다.

 

덥다[발음 : 덥ː따]
형용사

정의 1. 대기의 기온이 높다.

예문 1. 여름 날씨가 무척 덥다(O)
 여름 날씨가 무척 덮다(X)

     2. 오늘따라 비가내렸는데도 유난히도 덥다.(O)
 오늘따라 비가내렸는데도 유난히도 덮다.(X)
 
정의 2. 더운 공기

예문 1. 한참 더울 때 군대를 가서 훈련소에서 고생을 했다.(O)
 한참 더불 때 군대를 가서 훈련소에서 고생을 했다.(X)

     2. 공원을 몇 바퀴 달렸더니 더워 죽겠다.(O)
 공원을 몇 바퀴 달렸더니 더붜 죽겠다.(X)

 

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덥다의 의미는 한여름에 무척 날씨가 더울 때 사용하는 의미입니다.
주변에서 덥다를 덮다라고 착각하는 분은 아마 없을 것 같지만, 덮다는 그럼 무엇일까요?

 

덮다[발음 : 덥따]
동사


정의1. 물건 따위가 드러나거나 보이지 않도록 넓은 천 따위를 얹어서 씌우다.

예문 1. 책상보를 책상에 덮다(O) 
        책상보를 책상에 덥다(X)
 
     2. 몰래 혼자 먹던 야식을 신문지로 덮었지만 다 가려지지 않았다.(O)
 몰래 혼자 먹던 야식을 신문지로 덥었지만 다 가려지지 않았다.(X)
 
정의 2. 그릇 같은 것의 아가리를 뚜껑 따위로 막다.

예문 1. 뚜껑을 국그릇 위에 덮다(O)
 뚜껑을 국그릇 위에 덥다(X)

     2. 먼지가 많으므로 컵 위에 종이를 덮었다.(O)
 먼지가 많으므로 컵 위에 종이를 덥었다.(X)
 

정의 3.「…을」일정한 범위나 공간을 빈틈없이 휩싸다.

예문 1. 행복한 분위기가 방 안을 덮는다.(O)
 행복한 분위기가 방 안을 덥는다.(X)
     2. 산은 온통 소나무들이 즐비하게 덮고 있다.(O)
 산은 온통 소나무들이 즐비하게 덥고 있다.(X)
 

정의 4. 펼쳐져 있는 책 따위를 닫다.

예문 1. 책을 덮었다.(O)
 책을 덥었다.(X)

     2. 보던 것들은 덮고 필기도구만 꺼내세요.(O)
 보던 것들은 덥고 필기도구만 꺼내세요.(X)
 

정의 5. 어떤 사실이나 내용 따위를 따져 드러내지 않고 그대로 두거나 숨기다.

예문 1. 지난 일을 덮어 두다(O)
 지난 일을 덥어 두다(X)
 
     2. 허물을 덮어 주다.(O)
 허물을 덥어 주다.(X)


네, 위에서처럼 덮다는 덥다보다도 더 많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여름철의 더운 날씨에 대해서는 '덥다'라고 표현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콘텐츠를 마칩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일곱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여러분들은 캠핑을 혹시 좋아하나요?
캠핑을 가서 고기를 구워먹거나 할 때는 불을 조심해야하는데요. 불을 피우려 할 때는 여간 조심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아래의 두 문장 중 무엇이 올바른지 알아보겠습니다.

 

"불을 피울 때는 손을 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불을 피울 때는 손을 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일곱번째 시간에서는 '데다'와 '대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데다'와 '대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불을 피울 때는 손을 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매다'와 '메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데다"입니다.

 

 

데다[발음 : 데ː다]
동사

정의 1. 「(…을)」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말미암아 살이 상하다. 또는 그렇게 하다.

예문 1. 손가락을 실수로 불에 데어버렸다 (O)
 손가락을 실수로 불에 대어버렸다 (X)
 
예문 2. 요리를 하다가 발에다 뜨거운 국을 흘려 데었다. (O) 
        요리를 하다가 발에다 뜨거운 국을 흘려 대었다. (X)

예문 3. 물이 뜨거운지 알아보려다 물이 뜨거워 데었다. (O)
 물이 뜨거운지 알아보려다 물이 뜨거워 대었다. (X)


정의 2. 「…에」 몹시 놀라거나 심한 괴로움을 겪어 진저리가 나다.

예문 1. 사람 사이 관계에 데어 지쳤다(O)
 사람 사이 관계에 대어 지쳤다(X)

예문 2. 잦은 회식 등으로 술에 데어 술만 보면 진저리 난다.(O)
 잦은 회식 등으로 술에 대어 술만 보면 진저리 난다.(X)

 

네, 위에서 보다싶이 데다의 의미는 무언가를 직접 경험 또는 마주함으로써 생각과 다른 결과를 얻는 등의 상황에 사용됨을 알 수 있엇습니다.
그러면 대다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대다[발음 : 대:다]
동사
 
정의 1. 「…에」 정해진 시간에 닿거나 맞추다.

예문 1. 약속 시간에 대도록 길을 서둘러 나섰다.(O)
        약속 시간에 데도록 길을 서둘러 나섰다.(X)

예문 2. 그 사람은 약속했던 시간에 대서 왔는데 제일 먼저 도착했다.(O)
        그 사람은 약속했던 시간에 데서 왔는데 제일 먼저 도착했다.(X)

정의 2. 「…에/에게」(주로 ‘대고’ 꼴로 쓰여) 어떤 것을 목표로 삼거나 향하다.  

예문 1. 하늘에 대고 소원을 빌었다.(O)
  하늘에 데고 소원을 빌었다.(X)
 
     2. 아이들이 나무판을 목표지로 대고 돌을 던졌다.(O)
 아이들이 나무판을 목표지로 데고 돌을 던졌다.(X)
 
     3. 어디다 대고 반말을 하는지 모르겠다.(O)
 어디다 데고 반말을 하는지 모르겠다.(X)

 
정의 3. 「…에/에게 …을」무엇을 어디에 닿게 하다.

예문 1. 핸드폰을 귀에 대고 통화를 걸었다.(O)
 핸드폰을 귀에 데고 통화를 걸었다.(X)
 
 

네, 위에서처럼 대다는 직접 접촉을 하는 경우에 사용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것으로 오늘의 헷갈리는 우리말 콘텐츠를 마칩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네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더운 여름인 요즘, 빨래감을 세탁하고 나서 잘 마르지 않지요? 그래서 빨래하기가 쉽지 않은데 사실 더 귀찮은 것은 옷을 말리고 입는 과정에서 옷을 다림질을 해야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은 아래의 두 가지 문장 중에서 어떤 문장을 써야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세탁 후 마른 세탁물의 주름을 펴기 위해 옷을 다리고 입어야 한다"
"세탁 후 마른 세탁물의 주름을 펴기 위해 옷을 달이고 입어야 한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네번째 시간에서는 '다리다'와 '달이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다리다'와 '달이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세탁 후 마른 세탁물의 주름을 펴기 위해 옷을 다리고 입어야 한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다리다'와 '달이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다리다"입니다.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네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더운 여름인 요즘, 빨래감을 세탁하고 나서 잘 마르지 않지요? 그래서 빨래하기가 쉽지 않은데 사실 더 귀찮은 것은 옷을 말리고 입는 과정에서 옷을 다림질을 해야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은 아래의 두 가지 문장 중에서 어떤 문장을 써야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세탁 후 마른 세탁물의 주름을 펴기 위해 옷을 다리고 입어야 한다"
"세탁 후 마른 세탁물의 주름을 펴기 위해 옷을 달이고 입어야 한다"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네번째 시간에서는 '다리다'와 '달이다'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다리다'와 '달이다'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다리다: 옷이나 천의 주름살을 다리미로 펴다. (옷을 다리다)
달이다: 끓여서 진하게 하다. (약을 달이다)


네, 정답은 바로 "세탁 후 마른 세탁물의 주름을 펴기 위해 옷을 다리고 입어야 한다"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다리다'와 '달이다'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다리다"입니다.

 


다리다[발음 : 다리다]
동사
 
정의 1. 「…을」 옷이나 천 따위의 주름이나 구김을 펴고 줄을 세우기 위하여 다리미나 인두로 문지르다.

예문 1. 다리미로 옷을 다리다 (O)
 다림이로 옷을 달이다 (X)
 
     2. 바지를 다려 줄을 세우다 (O)
        바지를 달여 줄을 세우다 (X)

     3. 다리지 않은 와이셔츠라 온통 구김살이 가 있다. (O)
        달이지 않은 와이셔츠라 온통 구김살이 가 있다. (X)
 

네 앞선 정의와 예문에서처럼 구겨진 주름을 펴기 위해 다리미를 사용하는 경우는, 달이다가 아니라 다리다라는 것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다리다와 상당히 비슷해 보이는 달이다는 어떤 뜻일까요?

 

 

 

달이다[발음 : 꽁수]
동사
 

정의 1. 「…을」액체 따위를 끓여서 진하게 만들다.

 

예문 1. 간장을 달이다. (O)
           간장을 다리다. (X)

     2. 온 집 안이 장 달이는 냄새로 진동했다. (O)
        온 집 안이 장 다리는 냄새로 진동했다. (X)

 

정의 2. 약재 따위에 물을 부어 우러나도록 끓이다.

 

예문 1. 보약을 달이다 (O)
           보약을 다리다 (X) 
   
     2. 한약을 달이는 과정은 힘들지만, 마시고 원기를 차릴 사람을 생각하니 참을만 했다. (O)
        한약을 다리는 과정은 힘들지만, 마시고 원기를 차릴 사람을 생각하니 참을만 했다. (X)
 

 

네, 위에서처럼 '달이다'는 한약이나 탕약을 부채질하며 끓이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어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네번째에서는 '달이다'와 '다리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세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으로 헷갈리는 우리말을 알려드릴지를 고민했는데요.

 

 


흔히 우리는 친구사이에서 내기를 하거나 경기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대방에 대해서 이런 말을 하기도 하는데요. 아래의 두 가지 문장 중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지 생각해봅시다.

 


"방금 나한테 꼼수를 쓴 것 아니야?"
"방금 나한테 꽁수를 쓴 것 아니야?"

 


과연 이 두 가지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즉, 이번 오십세번째 시간에서는 '꼼수'와 '꽁수' 중에서 어떤 것이 위의 문장에서 올바른 표현인지를 알아보고, '꼼수'와 '꽁수'의 각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려합니다.

 

 

먼저 위의 문장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었을까요? 정답을 공개하겠습니다.

 

 


네, 정답은 바로 "방금 나한테 꼼수를 쓴 것 아니야?"가 맞는 문장입니다. 그러면 '꼼수'와 '꽁수'의 각 정의와 사용되는 예를 문장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꼼수"입니다.

 


꼼수[발음 : 꼼수]
명사
 
정의 1. 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예문 1. 꼼수를 쓰다 (O)
 꽁수를 쓰다 (X) 

예문 2. 이제는 너의 속셈을 알아서 너의 꼼수에는 두 번 다시 속지 않는다. (O)
 이제는 너의 속셈을 알아서 너의 꽁수에는 두 번 다시 속지 않는다. (X)
  

 

네 앞선 정의와 예문에서처럼 흔히 남을 속이기 위한 쩨쩨한 수단이난 방법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꽁수'가 아니라, '꼼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꼼수와 상당히 비슷해 보이는 꽁수는 어떤 뜻일까요?

 

 

 

꽁수[발음 : 꽁수]
명사
 
정의 1. 연의 방구멍 밑의 부분.

예문 1. 꽁수를 잘 정돈해 둬야 나중에 다시 날리기에 좋다. (O)
 꼼수를 잘 정돈해 둬야 나중에 다시 날리기에 좋다. (X)
 

네, 위에서처럼 꽁수는 연과 관련된 단어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오십세번째에서는 '꼼수'과 '꽁수'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 네이버 국어사전, 국립국어원)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26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 표현을 말할지를 고민했는데요. 흔히 상대방에게 어떤 일을 맡겼을 때, 그 일을 맡긴 대로 처리하면 될 문제를 시키지 않은 일까지 덩달아 처리하려다 일을 그르치는 경우에 사용하는 표현인 '어쭙잖다' 혹은 '어줍잖다'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여러분들은 '어쭙잖다'와 '어줍잖다'라는 표현 중에서 어떤 것이 올바른 표현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발음한 된소리가 강하게 나는 듯하는데 과연 정답은 무엇일까요.

 

 

 

 

 


네, 정답은 바로 '어쭙잖다' 입니다. 그러면 어쭙잖다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쭙잖다 [발음 : 어쭙짠타]
[형용사]


1. 비웃음을 살 만큼 언행이 분수에 넘치는 데가 있다.
  예문 : 가난뱅이 주제에 어쭙잖게 자가용을 산대?
노인의 구시렁거리는 잔소리와 때로는 어쭙잖은 호령까지 들어 가며 함께 지낸다는 게 그렇게 쉬운 일이냐는 앙탈이었다. (출처 : 전상국, 외딴길)

 

2 . 아주 서투르고 어설프다. 또는 아주 시시하고 보잘것없다.
왕한은 어쭙잖게 취직을 구하는 것보다 노동을 하는 것이 나으리라고 생각하였다. (출처 : 한용운, 흑풍)
어마어마한 이름을 뒤집어씌워 그렇지 실은 사건이 될 턱이 없는 어쭙잖은 일이었다. (출처 : 김정한, 수라도)

 

 

이러한 어쭙잖다의 뜻과 예문에 대해 확인해보니 어줍잖다라고 써선 안된다는 것에 대해 조금은 이해가 가시나요? 아직 잘 이해가 가지 않으실 수도 있을텐데요. 국어생활백서에 따르면 (저자 : 김홍석) 비웃음을 살 만큼 언행이 분수에 넘치는 데가 있다는 뜻으로 ‘어쭙잖다’가 옳다고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5항에 따르면, 한 단어 항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으며 이를 ‘어줍잖다’로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생각해보는건 어떨까요? 나는 상대방에게 A라는 일에 대해서만 시켰는데, 시키지도 않은 일인 B까지도 한 경우입니다. 물론 일의 양으로만 따지고 보면, 두가지를 했기 때문에 잘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문제는 애초에 시켰던 A라는 문제를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B라는 것도 제대로 해내지 못했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말할 것인가요?

 

 

"어쭈? 시키지도 않은 일까지 했는데, 제대로 못했잖아!" ---> "어쭈?... 어쭙잖게 시키지도 않은 일까지 했는데, 제대로 못했잖아!" 라고 생각한다면 헷갈릴 일이 조금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네, 이렇게 오늘의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스물여섯번째 주제엔 '어쭙잖다'와 '어줍잖다'의 차이에 대해서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향후에는 헷갈리는 일이 없기를 바라며 이번 콘텐츠의 내용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