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려시대의 화폐와 조선시대의 화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화폐라고 하긴 했지만, 화폐와 관련해서 당시의 경제 생활상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갈 점에 대해 언급드리려 합니다.

 

 

내용 자체는 크게 어려운 내용은 없습니다.

고려시대의 동전 내지 화폐는 고려시대의 성종 대 등장했던 건원중보를 최초의 철전으로 봅니다. 

 

 

그 후에는 숙종 대 여러 화폐가 등장하게 되는데요. 활구/은병/삼한통보/해동통보/해동중보가 바로 그것들입니다. 숙종 대 의천스님의 건의에 따라 주전도감(동전 제조 관련 관청이라 생각해세요)을 설치로 이러한 화폐가 많이 등장했다고 봅니다.

 

 

그러다 원간섭기에 이르게 되고, 이 시대에는 지원보초라는 원나라 화폐가 등장하게 됩니다.

 

 

원간섭기가 끝난 뒤 공양왕 시기에는 '저화'가 등장하게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려의 동전(화폐)>

 

 1. 건원중보 (최초의 철전, 성종)

 2. 활구,은병,삼한통보,해동통보,해동중보 (숙종)

 3. 지원보초 (원나라 화폐, 원간섭기)

 4. 저화 (공양왕)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곧장 새로운 화폐를 주조하기 보다도, 태종 대에는 사섬서에서 저화를 그대로 발행합니다.

 

 

그러다 세종 대에는 조선통보를 발행하는데 주의할 점이 "해서체"라는 점입니다. 조선통보는 "해서체"와 "팔분체"로 별도로 있기 때문입니다.

 

 

세조 대에는 팔방통보를 발행하는데, 화살 촉 모양과 같아 유사시 무기로도 활용을 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영정법을 실시하기도 했던 인조 대에는 앞서 말한 것처럼 "팔분체" 조선통보를 발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상평통보를 발행하기도 하는데 이 상평통보가 전국 유통된 것은 숙종 대 이르러서 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조선의 동전(화폐)>

 

 

 1. 저화 (태종, 사섬서)

 2. 조선통보 (세종, 해서체, 주전소)

 3. 팔방통보 = 유엽전 (세조)

 4. 조선통보 (인조, 팔분체, 정묘호란 前) + 상평통보 주조(병자호란 前)

 5. 상평통보 전국 유통 (숙종)

 

 

+ 근대 조선의 동전

 1. 원납전과 당백전 (대원군) 

    (원납전 : 원해서 냈다는 돈, 당백전 : 물가 상승을 일으키게 된 돈)

 2. 제일은행권 유통시작 (1876, 고종 친정 시작, 강화도 조약과 관련)

 3. 대동폐 = 대동은전 (고종, 1882)

 4. 당오전 (묄렌도르프 건의, 고종, 전환국 1883)

 5. 백동화 (고종, 전환국, 1892~1902)

 6. 제일은행권 (고종, 1905, 법정화폐)

 

 

네, 이상으로 고려와 조선시대의 화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참고 : 신영식 해동한국사, 두산백과, 네이버사전>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려왕조의 중앙행정의 틀을 완성시켰다고 볼 수 있는 고려의 성종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참고로 지방행정의 틀을 완성시킨 고려의 왕은 현종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고려의 성종은 여러 정책들을 제도화시킴으로써 고려의 중앙행정기구의 틀을 제도화시키고, 또 최승로를 기용하여 유학교육이 제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저런 성종의 고려왕조에 대한 기여는 무척 크다할 수 있는데요.

 

 

간단 명료하게 문장을 요약해보면,

 

 

1) 개경에 비서성, 서경에 수서원(도서기구) 설치

 

2) 국자감 설치(최고교육기구)

 

3) 12목에 목사 파견(최초의 지방관 파견)

    참고 : 감무를 파견하는 것은 고려의 예종입니다.

 

4) 최승로의 시무28조

    참고 : 최충헌의 봉사10조과 비교해두면 좋습니다.

 

5) 12목에 향학(향교) 설치, 의학박사와 경학박사 파견

 

6) 광종 때 들여온 중국식 문산계를, 정식 관계로 사용함

 

7) 의창 설치 (태조는 흑창 설치), 상평창 설치, 재면법 시행

 

8) 당나라 3성6부 모방하여 2성6부를 설치

 

9) 송나라 관제 중추원과 삼사 설치

   참고 : 고려의 삼사는 회계기구입니다.

 

10) 고려 독자기구인 식목도감과 도병마사 (귀족합의체기구) 설치

   참고 : 조선의 독자기구는 의정부입니다.

 

 

 

네, 이상으로 고려의 중앙정치를 탄탄하게 만든 성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무엇보다 좋은 것은 자기 나름대로의 인물이나 왕에 대해서 업적들을 번호를 매긴 문장형태로 공책에 시간순으로 나열하고 필기하면, 금방 암기가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사공부에 도움이 될 여러 방법들 중 하나인 각 왕조의 왕들의 순서를 외우는 방법에 대해 언급드리려 합니다.

 

 

각 왕조의 왕의 역대 순서를 왜 외워야 할까요?

그것은 각종 국사 이론서를 공부할 때, 순차적으로 나가지만 때로 중간중간 앞의 왕은 누구였는지 헷갈릴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왕조의 왕 순서를 외워두면, 학습에 분명히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고려왕조>

 

태혜정광 / 경성목현

덕정문순 / 선헌숙예

인의명신 / 희강고원

(忠)렬선숙혜목정 / 공민 / 우 / 창 / 공양 

 

 - 먼저 4박자로 나눕니다

 - 그 다음 광종 뒤에 오는 왕이 헷갈리면, 광종의 'ㄱ'이니, 그 다음 왕도 'ㄱ' 경종이 된다고 생각하세요

 - 고려의 현종은 중앙행정의 기반을 마련한 성종의 업적에 비견할 정도로 지방행정을 완비한 왕으로 뛰어난 왕이었습니다. 그렇게 뛰어난 왕이니 아들들도 뛰어나겠죠? 덕이 많고 순한 왕입니다. (덕정문순)

 

 - 이런식으로 스토리를 짜서 왕의 순서를 암기해 보세요

 

 

<조선왕조>

 

 태정태세문단세 /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 정순헌철고순

 

 - 조선왕조에 대해서는 어렸을 때 다들 노래처럼 태정태세문단세~하며 익혀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 근데 다들 보통 태정태세문단세 까지만 기억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 이번 기회에 꼭 암기하심이 좋겠습니다

 

 

 

 

 (참고 : 두산백과, 네이버 사전)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