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세조(1455-1468)

 

√. 조선 세조 관련

 - 중앙군으로서의 5위로 개편과 5위도총부 개편

 - 한명회 등 정난공신 중심으로 6조직계제 시행

 - 세조 대에는 태종 이후 배제됐던 외척과 종친 참여 허용

 - 통치질서 확립을 위한 ‘경국대전’ 편찬 시작(=완찬은 성종)

 - 경국대전 중 ‘형전’과 ‘호전’만이 세조 대 우선 반포됨

  

 

1. 왕권 강화

   ㄱ. 6조 직계제 실시, 왕권 강화  ㄴ. 집현전 폐지 : 경연제도 폐지

   ㄷ. 중앙 집권 강화 : 군현제 정비, 면리제, 오가 작통법

 

 2. 종친들을  중역에 등용 (세조)

 태종 이래 정치 참여가 제한되었던 종친들을 중역에 등용함

 

 

 3. 경국대전  편찬 시작 (세조)

  - 경국대전 완찬 (성종)

 

 호전(1460), 형전(1461)을 간행이 먼저 이루어집니다.

 

 

 4. 부국 강병 정책

 

        (세조)

 

 

 

 ㄱ. 군액 증가 정책 : 호적 관리, 호패법, 면리제, 오가작통법 등을 통해

 

  군액 증강을 도모하고, 보법을 실시하여 군역 대상자를 더욱 확대함

 

 ㄴ. 오위 체제 정비 : 중앙군으로서 5위 체제를 재정비

 

                               국왕 중심의 군권을 강화

 

 ㄷ. 진관 체제 실시 : 군현을 진관으로 편성한 방어 체제.

 

                                국방력이 강화.

 

 ㄹ. 토관제도 실시 : 사민 정책 강화 (북방 이주)

 

                              지방관을 파견하지 안고 토착민을 토관으로 임명

 

 

 

 

 5. 직전법 실시

 

   (세조)

 

 ㄱ. 배경

 

 - 과전법 체제에서 전직 관리에게 지급되던 수신전, 휼양전 등의

 

  면세전이 증가하면서 수조지 부족 현상이 발생

 

 ㄴ. 경과

 

 - 현직 관리에 국한하여 과전의 수조권을 지급하는 제도

 

 - 산관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국가 재정을 확보하여 중앙 집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행

 

 - 세조는 이외에도 국가 재정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각종 둔전 설치

 

 - 공해전을 국용전으로 편입

 

 

 

 

 6. 이시애의 난과

 

   유향소 폐지 (세조)

 

 

 

 - 회령부사를 지내다가 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퇴한 함흥부 유향소 별감

 

  '이시애'가 함경도 지방 차별에 반기를 들고 난을 일으켰다가 진압

 

  (1467)

 

 - 이 난을 계기로 함경도의 길주는 길성현으로 강등, 함길도는 남북 2도

 

  로 분리되었으며, 전국의 유향소도 폐지

 

 - 이후 유향소는 성종 대에 다시 부활(1488)

 

 

 

 

 7. 불교의 진흥

 

 (세조)

 

  ㄱ. 간경도감 설치(1461)

 

 - 불교가 일시적으로 중흥하면서 많은 불경이 국역

 

 

 

  ㄴ. 원각사 건립(1464) : 원각사지 10층 석탑

 

 - 불교가 가지고 있는 호국성에 근거하여 국가적 민족 의식을 고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국방력과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를 도모하고자

 

  원각사를 세우고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건립

√. 잡색군과 속오군 차이

 - 잡색군 : 조선초기, 농민을 제외한 전직관리, 서리, 교생,          잡학인, 신량역천인, 노비 등으로 구성

 - 속오군 : 임란 이후, 병력 부족 때문에 양반~노비 포함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선시대의 서적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알아보는 방법은 조선 왕조의 왕의 순서대로 당시 편찬되었던 서적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태조

정도전

<조선경국전> : 최초의 사찬 법전

<경제문감> : 정치 조직의 초안

<고려국사> : 고려 멸망의 당위성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저술

<금남잡영,금남잡제> : 1375년 유배시 개인문집

<불씨잡변> : 유학의 입장에서 서술한 불교 비판서적

 (cf:불씨잡변은 정도전의 마지막 저서입니다.)

 

조준

<경제육전>

정종

 -

태종

[권근]

<동국사략>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세종 

[정민지, 김종서]

<고려사> : 기전체로 저술

 cf) <고려사절요> : 편년체로 저술 (정민지, 김종서)

 

<농사직설>, <삼강행실도>, <팔도도>

 

의서 :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역법서 : <칠정산>

 

문학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정간보>, <총통등록>

문종 

<고려사절요> : 편년체로 저술

단종

 -

세조 

 

법전 : <경국대전> 집필시작하여 완찬은 "성종"

        but 형전과 호전은 세조 때 이미 나옴.

 

[양성지] : <동국지도> 

예종 

 -

성종 

 <경국대전>의 완성

 

[신숙주] : <국조오례의>

 

[서거정] : <동국통감>, <동문선>

 

[성현] : <악학궤범>

 cf) <정간보>는 세종 대 편찬됨. 헷갈리지 말아야 함.

 

[신숙주] : <해동제국기> 

연산군 

 -

중종 

 [박상] : <동국사략>

 

<신증동국여지승람>

 

<이륜행실도>

인종 

 

명종 

 [이황]

 

<성학십도> : 군주 스스로 꺠우침을 얻어야 한다는 저서

<주자서절요>

선조 

 [이이]

 

<성학집요> : 군주를 가르쳐야 한다는 저서, (집요하게 가르침)

<기자실기> 

<동호문답>

광해군 

[이수광] : <지봉유설> : 후에 남인과 불우 종친들이 연구함

 

[허준] : <동의보감>

인조 

한백겸 : <동국지리지> 

효종 

-

현종 

[유형원] : <반계수록> 

숙종 

-

경종 

-

영조 

[신경준] : <훈민정음운해>

 

[이익] : <성호사설>

 

[이중환] : <택리지>

 

[정상기] : <동국지도> : 100리척 사용

정조 

<대전통편> : 정조는 정통하다! 라고 생각하길..

 cf) 흥선대원군 <대전회통> : 흥선군의 "ㅎ"과 대전회통의 "ㅎ"

  

[안정복] : <동사강목>

 

[한치윤] : <해동역사> : 한진서와 함께 저술

 

[유득공] : <발해고>

 

​[홍대용] : <담헌서>, <임하경륜>, <의산문답>, <연기>, <주해수용>

 

 

 

[정약용] : <마과회통>

 

[정약전] : <자산어보>

[박지원] : <허생전>, <양반전>, <열하일기>

[박제가] : <북학의>

순조 

[정약용] : <목민심서>, <흠흠신서>

헌종 

[이규경] : <오주연문장전산고>

철종 

[김정희] : <금석과인록> 

 

[김정호] : <대동여지도>

고종 

[흥선대원군] : <육전조례>, <대전회통>

 

이제마 : <동의수세보원>

순조 

-

 

 

 

조선시대의 저서는 다른 시대에 비해 중요한 서적들도 많고, 눈여겨보아야할 서적들이 무척 많습니다.

 

이런 경우 한번에 다 외우려하기 보다도, 한국사를 공부할 때 정치사의 어느 왕을 학습할 때 등장하는 인물(신하, 장수)들의 행동에 대해서 하나씩 추가해나간다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암기가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