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세조(1455-1468)

 

√. 조선 세조 관련

 - 중앙군으로서의 5위로 개편과 5위도총부 개편

 - 한명회 등 정난공신 중심으로 6조직계제 시행

 - 세조 대에는 태종 이후 배제됐던 외척과 종친 참여 허용

 - 통치질서 확립을 위한 ‘경국대전’ 편찬 시작(=완찬은 성종)

 - 경국대전 중 ‘형전’과 ‘호전’만이 세조 대 우선 반포됨

  

 

1. 왕권 강화

   ㄱ. 6조 직계제 실시, 왕권 강화  ㄴ. 집현전 폐지 : 경연제도 폐지

   ㄷ. 중앙 집권 강화 : 군현제 정비, 면리제, 오가 작통법

 

 2. 종친들을  중역에 등용 (세조)

 태종 이래 정치 참여가 제한되었던 종친들을 중역에 등용함

 

 

 3. 경국대전  편찬 시작 (세조)

  - 경국대전 완찬 (성종)

 

 호전(1460), 형전(1461)을 간행이 먼저 이루어집니다.

 

 

 4. 부국 강병 정책

 

        (세조)

 

 

 

 ㄱ. 군액 증가 정책 : 호적 관리, 호패법, 면리제, 오가작통법 등을 통해

 

  군액 증강을 도모하고, 보법을 실시하여 군역 대상자를 더욱 확대함

 

 ㄴ. 오위 체제 정비 : 중앙군으로서 5위 체제를 재정비

 

                               국왕 중심의 군권을 강화

 

 ㄷ. 진관 체제 실시 : 군현을 진관으로 편성한 방어 체제.

 

                                국방력이 강화.

 

 ㄹ. 토관제도 실시 : 사민 정책 강화 (북방 이주)

 

                              지방관을 파견하지 안고 토착민을 토관으로 임명

 

 

 

 

 5. 직전법 실시

 

   (세조)

 

 ㄱ. 배경

 

 - 과전법 체제에서 전직 관리에게 지급되던 수신전, 휼양전 등의

 

  면세전이 증가하면서 수조지 부족 현상이 발생

 

 ㄴ. 경과

 

 - 현직 관리에 국한하여 과전의 수조권을 지급하는 제도

 

 - 산관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국가 재정을 확보하여 중앙 집권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행

 

 - 세조는 이외에도 국가 재정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각종 둔전 설치

 

 - 공해전을 국용전으로 편입

 

 

 

 

 6. 이시애의 난과

 

   유향소 폐지 (세조)

 

 

 

 - 회령부사를 지내다가 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퇴한 함흥부 유향소 별감

 

  '이시애'가 함경도 지방 차별에 반기를 들고 난을 일으켰다가 진압

 

  (1467)

 

 - 이 난을 계기로 함경도의 길주는 길성현으로 강등, 함길도는 남북 2도

 

  로 분리되었으며, 전국의 유향소도 폐지

 

 - 이후 유향소는 성종 대에 다시 부활(1488)

 

 

 

 

 7. 불교의 진흥

 

 (세조)

 

  ㄱ. 간경도감 설치(1461)

 

 - 불교가 일시적으로 중흥하면서 많은 불경이 국역

 

 

 

  ㄴ. 원각사 건립(1464) : 원각사지 10층 석탑

 

 - 불교가 가지고 있는 호국성에 근거하여 국가적 민족 의식을 고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국방력과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를 도모하고자

 

  원각사를 세우고 원각사지 10층 석탑을 건립

√. 잡색군과 속오군 차이

 - 잡색군 : 조선초기, 농민을 제외한 전직관리, 서리, 교생,          잡학인, 신량역천인, 노비 등으로 구성

 - 속오군 : 임란 이후, 병력 부족 때문에 양반~노비 포함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