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려시대의 역사서에 대하여 알아보려 합니다.

 

고려시대는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의식에서처럼 초기 고려시대의 역사서에서도 그 의식이 드러납니다. 즉 자주적인 기상이 드러납니다.

 

 

 1. 고려 초기의 역사서

   1) 고려왕조실록 - 건국초기부터 편찬됨. 하지만 거란 침입으로 소실

   2) 7대실록 - 태조~목종까지. 현종 대 편찬시작되어 덕종 대 완성.

    - 하지만 임진왜란으로 소실

   3) 가락국기 - 문종 대 김양감이 지음. 금관가야의 역사입니다. 대가야 아님. 현존 X

   4) 속편년통재 : 예종 대 홍관이 지음. 편년체 사서. 현존 X

 

 

하지만 고려 중기에 이르면서 문벌귀족 세력이 강해지면서 점차 자연스레 보수화 되는 경향이 드러나게 됩니다.

 

 

 2. 고려 중기의 역사서

   1) 삼국사기(인종 대 김부식)

     - 김부식 등이 왕명으로 편찬한 우리나라 최고의 역사서

     - 고려 초에 저술된 자주적 성격의 "구삼국사"를 바탕으로 함

     - '구삼국사'의 역사관은 자주적이었으나,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유교적 합리주의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저술함

     - 김부식은 신라 계승 의식을 드러냄 (백제는 속임수가 많은 국가로, 고구려는 호전적인 국가로 비판함)

     - 역사적 사실과 사관의 주관이 담긴 사론을 구분

     - 내용적 구성 : 본기, 열전, 지, 연표로 나누고, 고구려-백제-신라를 본기에 담음 

     - 삼국을 아'(我)'로 표현해서 민족 의식을 명확히 했음

 

   2) 편년통록 (의종 대 김관의)

     - 송나라 왕실 계보를 담은 편년통록을 참고하여 저술

  

 

 3. 고려 후기 : 무신기의 역사서(12~13세기)

   1)동명왕편 (명종 대 이규보 - 주의!!: 이의민 집권기에 저술)

     - 이의민 집권기에 이규보가 편찬하였고, '동국이상국집'에 수록

        주된 함정은 이규보는 최충헌 대 주로 활동했지만 동명왕편은 이의민 집권기에 저술되었다는 걸 기억하세요.

     - 동명왕편은 민간 전승으로 전해진 고구려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일종의 오언시로 구성된 영웅 서사시

     - 고구려 계승의식을 반영하고 고구려 전통을 노래

 

  2)해동고승전 (고종 대 각훈)

     - 무신정권기 "교종" 승려인 "각훈"이 왕명으로 편찬

     -  삼국시대 승려 30여 명의 전기 수록, 현재 유통편 2권만 현존.

     - 교종(화엄종)이 선종 유행에 대한 일종의 대응.

     - 중국 불교와 대등한 입장에서 서술됨.

 

  3)삼국유사 (몽골간섭기 충렬왕 대 일연)

     - "선종" 승려인 "일연"이 저술

     - 단군의 건국 이야기 수록

     - 단군의 후예가 부여-고구려-백제로 이어진다고 주장

     - 삼한과 신라를 중국 계통으로 파악!

     - 삼국사기가 불교와 신이사관적인 내용을 삭제한 데 대한 반응으로 일연의 삼국유사는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대해 비판적임

     - 기사본말체

    

  4)제왕운기 (몽골간섭기 충렬왕 대 이승휴)

     - 칠언시와 오언시로 편찬한 역사시

     - 상권과 하권으로 구성됨. 상권은 중국역사, 하권은 우리나라역사

     - 삼국의 시조를 중국으로 보는 삼국유사와 달리, 삼국의 시조를 천손(단군의 후손)으로 파악함

     - 삼조선설을 처음으로 기록 (단군/기자/위만)

     - 문제점은 단순히 어람용으로 간행되어, 중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기록은 반영되지 않았음

    

 

 

 

이상으로 고려시대 문화 중 역사서에 대한 서술을 마칩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고려시대의 불교에 대해 서술하겠습니다.

 

 

<참고 : 신영식 해동한국사, 두산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